도서 소개
교직실무는 교육학 관련 이론을 탐색하는 과목이라기보다는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그리고 교직 이수과정 등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가 갖추어야 할 실무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과목이라는데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실무적인 지식과 기술은 학교 현장의 변화 양상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할 수 있다. 오늘날 학교 현장의 변화 양상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크고 빠르다. 따라서 교직실무의 내용도 이에 걸맞은 모습으로 학교 현장의 변화 양상을 신속하게 반영해야 한다.
최근 학교 현장의 변화 모습은 실로 대단한 것이라고 밖에 표현할 길이 없다. 특히 국가교육과정의 대폭적인 개정과 함께 학교 관련 각종 법령이 개정되었다.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변화 양상을 반영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확대와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실시 등으로 대표되는 학교 문화 전체의 획기적인 변화는 교직실무의 새로운 내용을 촉구하는 환경이 되었다. 따라서 부분 개정보다는 전면적인 개정을 통한 신간 발간으로 교육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기로 하였다. 이번 신간에서는 예비교사의 새로운 교육적 요구를 충실하게 반영하기 위하여 학교 현장의 요구와 필요성을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를 목차에 반영하였다.
교직실무 신간은 모두 3부로 구성되었다. 1부는 교사와 교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와 교직에 대한 이해, 교원의 권리와 의무, 교원의 보수, 교원연수, 교직단체,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교사와 교직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직업적 소명감을 함양하고자 하였다.
2부에서는 교사의 고유 업무와 관련되는 부분으로 학생지도의 실제를 다루고 있다.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수업과 장학, 학생평가와 성적관리, 학급경영, 생활지도와 학교상담과 같은 학교 현장의 실무적 지식과 경험을 함양하는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3부에서는 학생지도 못지않게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학교 행정업무에 대한 이해를 돕는 단원으로 구성하였다.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회계제도, 문서관리, 교원의 인사와 복무에 대한 이해를 돕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교직실무를 집필하면서 무엇보다도 초등과 중등의 교원양성기관인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존재 이유를 염두에 두었다.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존립 근거를 묻는 이 질문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이상적 교사를 양성하기 위함으로 귀결된다. 즉 교사가 지녀야 할 이상적 자질과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교사를 학교(교실)에서 학생들과 더불어 지(知)와 행(行)의 가르침을 주된 혹은 우선적 과업으로 행하는 사람이라 정의할 때 교실, 학생, 가르칠 내용, 가르치는 방법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교원양성기관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것은 바로 교사의 열성적 수업이 학생들의 생활과 철저하게 유리되어 추상화되었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철저하게 학생들의 앎과 유리되어 있는 박제된 이론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현실적 고발에 대해 보다 친숙하게 들을 수 있는 말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현장성(現場性)이라는 용어일 것이다.
이 책은 초등과 중등의 교원양성기관에서 교직 생활에 필요한 실무적 지식과 경험을 사전에 체득하고 이를 통해 교사로서의 소양을 증진시키려는 예비교사훈련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기존의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으로는 학교 현장의 지식과 경험을 직접적이고도 풍부하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교육실습이라는 학교현장 체험 기회가 있기는 하지만 교직실무 경험을 충분히 함양하는 데에는 여전히 모자람이 있다.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교원양성기관은 교육의 특수성에 대한 충분한 진단이 부족함에서 반성의 여지가 있다. 교육의 특수성에 대한 배려는 이 책 집필의 시종(始終)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었던 핵심적인 관건이다.
끝으로 이러한 현장성의 부족에 대한 지적이 교육대학과 사범대학 교육에서 이론적 가르침의 무용론을 주장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이론은 현실(as it is)을 비추어 볼 거울이자 더 나은 발전의 촉매제이다. 교사는 현실에 기반하고 있지만 이상적 미래(at it will be)를 향해 나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가 지적하려는 바는 아무리 좋은 이론이라도 결코 추상적 제시에 그쳐서는 안 되며 학생의 실질적 앎에 철저하게 기여하는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할 따름이다.
이 책은 바로 이와 같은 문제 진단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능한 교원을 양성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문제는 실무적 지식에 대한 전문적 소양 여부에서 판단될 만큼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심층적인 이론서가 아니라 실무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지침서이다. 다시 말해 초ㆍ중등학교에서 교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실무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지침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책은 특히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첫째, 교직 수행에 실제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특히 각종 법규와 제도가 자주 바뀌는 환경적 특성을 감안하여 가급적 최신 자료를 제시하도록 노력하였다.
둘째, 교직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실무적 지식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 업무 매뉴얼이나 장학 자료를 활용하였다.
셋째, 이 책에서 제시하는 내용이 성공적인 교직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다 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교사로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내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책은 교직을 이해하고자 하는 예비교사들에게 성공적인 교직 업무를 돕기 위한 자료로서 읽혀지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이 책이 출판되도록 적극 격려해 주신 정민사 양영진 이사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무술년 햇살 좋은 봄날 전남 순천의 향림 동산에서
저자 이 병 환 씀
목차
머리말
제1부 교사와 교직
chapter 01 교사와 교직
1. 미래 사회의 교사상
2. 교직의 특성과 교사의 자질
3. 교사의 역할과 자세
chapter 02 교원의 권리와 의무
1. 교원의 권리
2. 교원의 의무
chapter 03 교원의 보수, 교원연수, 교직단체, 교원능력개발평가
1. 교원의 보수
2. 교원연수
3. 교직단체
4. 교원능력개발평가
제2부 학업지도와 생활지도
chapter 04 학교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1. 교육과정의 의미와 정의
2. 2015 개정 교육과정
3. 학교교육과정의 편성 절차 및 체제
chapter 05 수업에 대한 이해
1. 좋은 수업과 잘 가르치는 교사
2. 단위 시간 수업의 전략
3. 수업의 실제
chapter 06 장학활동
1. 장학의 개념과 원리
2. 자율장학의 종류와 특징
3. 성공적인 자율장학 운영을 위한 과제
chapter 07 학생평가와 성적관리
1. 학생평가의 이론적 기초
2. 학생평가와 학업성적관리의 실제
chapter 08 학급경영
1. 학급경영의 기초
2. 학급경영의 실제
chapter 09 생활지도와 학교상담
1. 생활지도의 이론적 기초
2. 학생 및 학부모 상담
3. 생활지도의 실제
제3부 행정업무의 이해
chapter 10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회계
1. 학교운영위원회의 개요
2.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선출
3.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
4. 학교회계제도의 실제
chapter 11 공문서관리 및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1. 공문서의 이해
2. 공문서 작성의 실제
3.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의 실제
chapter 12 인사와 복무
1. 임용(국가공무원법, 교육공무원법)
2. 신분 및 권익 보장
3. 상훈 및 징계
4. 복무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 소개
이병환
경북대학교에서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교육부 교육연구사와 국가전문행정연수원 교수요원을 거쳐
현재 국립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과 및 동 대학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교육부 전국 시ㆍ도교육청 평가위원,
교육부 전국교원양성기관 평가위원, 중등교원임용시험 출제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자문위원 등
중앙과 지방교육행정기관의 정책평가와 정책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대안교육의 실천과 모색」(학지사: 2009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추천도서),
「교육사회학(역서)」(교육과학사: 2006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추천도서), 「최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태영출판사),
「새로운 교육사회학」(태영출판사),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 등이 있으며,
「열린교육과 대안교육의 개념 비교 탐색」, 「지역여건에 따른 농산어촌 통학차량 운영모델 개발」,
「교원순환전보제의 논리 탐색」, 「혁신학교의 쟁점 탐색」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미국 피츠버그대학교의 초청으로 미국 교육정책의 최신 동향을 연구한 바 있으며,
각종 교육정책과 새로운 학교모형 구상에 관심을 가지고 활발한 연구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