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근래 우리 사회복지 현장의 사례관리는 그간의 혼란기 혹은 미성숙했던 시기를 다소 벗어나고 있는 듯합니다. 물론 이것은 주관적인 견해이지만, 그 증거로 어느 회의에서나 사례관리 민ㆍ관 협력이 당연하게 논의되고 있고, 사례관리 우수사례집이 정기적으로 발간되고 있습니다. 또한 사례관리를 주제로 다룬 양적, 질적 선행연구들이 꾸준히 나오고 있으며, 3년마다 실시하는 사회복지 기관 및 시설 평가지표에 사례관리 관련 지표가 중요한 고정지표로 들어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용관계가 매우 불안정했던 공공분야 통합사례관리사들(전국 약 890여 명)이 이제는 대부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분야별 사례관리 매뉴얼이 대개는 다 완성되어서 배포된 상태이고, 사례관리자의 전문성 함양은 매우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사례관리자를 위한 보수교육이나 사례관리 슈퍼바이저 양성도 분야별로 서서히 시작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현재 사회복지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천 방법 중에서 사례관리를 가장 중요한 실천방법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과거와는 달리 클라이언트를 중심에 두고, 클라이언트의 관점에서 사회복지사업과 프로그램, 전달체계 구축, 서비스들을 기획하고 수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사례관리의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들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와 욕구들을 지녔고,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기능 향상이라는 당면과제를 가진 대상자들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아주 빠르게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고, 이처럼 변화하는 환경에 둘러싸인 클라이언트와 가족을 돕는 사례관리의 모든 메커니즘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사례관리를 둘러싼 모든 체계들이 한순간도 멈춰 서 있는 것들이 없으며, 법률, 제도, 정책, 사회의 규칙과 통념들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례관리의 기본적 원칙에서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일관성 있는 개입을 요하기 때문에 예비사례관리자에게는 이론과 개념을 학습함과 동시에 계속된 변화에 적응하는 태도가 강조됩니다. 그러므로 이 교과목을 학습하는 학생들에게는 다소 난이도가 높은 과목이라는 첫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시중에는 사례관리 교과서들이 많이 출간되어 있지만, 이 책을 집필한 저자들 6명은 각 사회복지 분야에서 학문적ㆍ실천적 경험이 다양하며, 각자의 경험과 관점을 융합하여 이 책을 함께 저술하였습니다. 특히, 저자들은 초보사회복지사나 예비사회복지사들이 사례관리를 보다 쉽게 접근하고, 사례관리 실무능력을 강화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 가능하도록 가능한 한 이론과 개념을 쉽고 간결하게 기술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그리고 각 분야의 최신 동향에 맞는 사례들을 가져오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이 책의 중간 부분부터 등장하는 사례들은 미리 사전 동의를 받았거나, 핵심 이슈만을 그대로 두고 모든 상황들을 각색하여 기술한 사례들입니다.
이 책은 크게 2개 ‘부(1부, 2부)’로 나뉘어져 있고, 1부는 1~5장까지이고 사례관리 이론을 다루었으며, 2부는 6~12장까지이고, 사례관리 현장의 실제 사례들을 다루었습니다. 1장 ‘사례관리 개관’과 6장 ‘다문화가족과 아동을 위한 사례관리’는 조혜정 교수가 저술하였습니다. 2장 ‘사례관리의 기능’과 11장 ‘중독문제 대상자를 위한 사례관리’는 최은정 교수가 저술하였습니다. 3장 ‘사례관리의 이론적 근거와 모형’과 7장 ‘1인 가구를 위한 사례관리’는 배은경 교수가 담당하였습니다. 4장 ‘사례관리 수행체계와 슈퍼비전’과 12장 ‘사회적 고립 청년을 위한 사례관리’는 박은아 교수가 저술하였습니다. 5장 ‘사례관리 실천과정’의 뒷부분과 9장 ‘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 10장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는 김지선 교수가 저술하였습니다. 5장의 ‘사례관리 실천과정’의 앞부분과 8장 ‘공공영역 빈곤 독거노인 사례관리’는 이재경 교수가 담당하였습니다.
이 책에 실린 사례들과 실제 현장에서 다루어지는 사례가 진행되어 나가는 과정을 비교해보면 다른 점이 많을 수 있겠으나, 다음번 개정에서 더 수정ㆍ보완할 수 있도록 독자들의 아낌없는 조언을 부탁드리는 바입니다.
끝으로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도움을 주신 모든 분께 감사를 드리며 특히, 이 교재가 출판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신 정민사에 감사를 드립니다.
2024년 8월
저자 일동
목차
차례
PART 01 사례관리 이론
CHAPTER 01 사례관리 개관
1.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2. 사례관리의 발달과정 및 현황
3. 사례관리의 가치와 윤리
CHAPTER 02 사례관리의 기능
1. 사례관리 기능에 대한 이해
2. 사례관리자의 역할
3. 효과적 사례관리자가 되기 위한 준비와 Best Practice
4. 사례관리자의 전문직 정체성
5. 사례관리자의 자격
CHAPTER 03 사례관리의 이론적 근거와 모형
1. 사례관리의 이론적 근거
2. 사례관리 모형과 한국적 적용
CHAPTER 04 사례관리 수행체계와 슈퍼비전
1. 사례관리 수행체계의 이해
2. 사례관리의 운영
3. 사례관리 슈퍼비전
CHAPTER 05 사례관리 실천과정
1. 초기 과정
2. 사정 과정
3. 개입계획
4. 실행 및 점검
5. 평가 및 종결
PART 02 사례관리 실제
CHAPTER 06 다문화가족과 아동을 위한 사례관리
1. 다문화가족과 아동에 대한 사례관리의 이해
2. 다문화가족과 아동을 위한 사례관리의 실제
CHAPTER 07 1인 가구를 위한 사례관리
1. 1인 가구를 위한 사례관리의 필요성
2. 1인 가구 사례관리의 실제
CHAPTER 08 공공영역 빈곤 독거노인 사례관리
1. 공공영역 사례관리의 필요성과 현황
2. 공공영역 빈곤 독거노인 사례관리의 실제
CHAPTER 09 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
1. 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의 필요성
2. 장애인 대상 사례관리의 실제
CHAPTER 10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
1.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의 이해
2.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의 실제
CHAPTER 11 중독문제 대상자를 위한 사례관리
1. 4대 중독과 사례관리의 필요성
2. 도박중독자 사례관리의 실제
CHAPTER 12 사회적 고립 청년을 위한 사례관리
1. 사회적 고립 청년을 위한 사례관리의 이해
2. 사회적 고립 청년을 위한 사례관리의 실제
저자 소개
최은정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동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박은아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원광대학교 복지보건학부 교수
배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재경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목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조혜정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경상국립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김지선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동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