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소개
의료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임상현장에서는 더욱 새롭고 다양한 검사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간호사는 임상검사와 관련된 많은 간호업무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임상검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건강요구를 사정하고 그에 따른 질적 간호를 수행해야 할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간호학생이나 간호사가 다양한 임상검사에 대한 최신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임상현장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임상검사 정보를 충실히 포함하고 있는 참고도서가 필요하지만, 임상검사 관련 강좌를 수년간 강의하면서 살펴본 바 간호학생이나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만한 도서가 많지 않기에 본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가장 흔히 분석되는 혈액, 소변 검사물 수집 및 관리와 검사물 수집 시의 격리 지침 등에 대해 다루었다. 2장부터 16장까지는 검사물의 종류와 분석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특정 검사와 검사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해부 생리 및 병태생리 등 이론적 배경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며, 특히 혈액 검사의 경우 대상자 장애와 관련된 시스템별로 검사를 묶어 환자간호와의 연계성을 도모하였다.
목차
1장 서 론
2장 혈액 검사
3장 소변 검사
4장 객담 검사
5장 뇌척수액 검사
6장 혈액미생물배양 및 감수성 검사
7장 대변 검사
8장 세포 및 조직 검사
9장 내시경 검사
10장 방사선 검사
11장 방사선 혈관조영술
12장 초음파 검사
13장 핵의학 검사
14장 비핵의학 검사
15장 전기생리적 검사
16장 기능 검사
저자 소개
김정애 경복대학교 외